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구 공전의 방향과 속도, 황도. 사계절이 생기는 이유

 

지구는 스스로 한 바퀴를 돌면서 태양을 주위를 돕니다.(자전과 공전) 지구가 자전을 하는 데에는 24시간이 걸리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돌며 공전을 하는 데는 1년이 걸립니다. 

지난 시간의 글, 지구의 자전에 이어서 지구 공전의 방향과 속도, 공전 궤도와 사계절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구 공전의 방향과 속도, 황도

지구 공전의 방향은 자전과 같은 방향이며  서쪽에서 동쪽,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돕니다. 

지구는 시속 약 11만 km, 1초에 30km의 속도로 태양 주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태양의 주변을 지구만 돌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금성, 화성, 목성 등 다른 행성들도 모두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구를 포함한 행성들이 태양과 원으로 도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으로 돌아서 지구와 행성들은 태양과 가까워지기도 하고 멀어지기도 합니다.

 

지구가 태양과 거리를 유지하며 공전하는 길을 황도라고 합니다. 지구가 황도를 한 바퀴 도는 데는 1년이 걸립니다.

 

참고) 

지구가 황도를 도는데 정확히는 365.24219일이 걸립니다. 하루가 안 되는 시간(0.24219일)이 4년간 쌓이면 4년마다 한해씩 일 년이 366일인 '윤년'이 생깁니다.

 

사계절이 생기는 이유

지구는 23.5도 기울어진 상태로 24시간 동안 한 바퀴 회전을 합니다. 또한 지구는 자전을 하면서 태양 주위를 돌며 공전을 합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밤과 낮이 생기고 공전으로 계절이 변합니다.

지구가 자전을 하며 공전을 할 때 자전축이 기울어서 태양이 비치는 광선의 각도가 달라집니다. 지구가 기울어서 돌고 있기 때문에 태양 광원이 직선으로 지구에 도달할 때의 지표면의 온도와 태양광원이 비스듬히 도달할 때의 지표면의 온도가 달라지게 되면서 계절이 변화합니다. 또한 하루 동안의 밤과 낮의 길이 변화도 태양 광원과의 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태양 광원이 직선일 때는 낮이 길어져 하지라고 하고 비스듬할 때는 밤이 길어지며 동지가 됩니다.

 

 

 

 

지구 자전의 방향과 속도, 그리고 천체의 일주 운동

지구는 북극과 남극을 지나는 선을 축으로 스스로 하루 24시간에 한 바퀴 회전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지구의 자전이라고 합니다. 지구는 우리의 태양계가 탄생했을 때부터, 즉 무려 45억 년 전

gwavew.com